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0

2023년 1분기 경제 정책 방향과 과제 및 담당 부처 기획재정부 & 금융위원회 기획재정부에서는 1분기 경제 정책 시작은 민자사업 보상자금 선투입제도 활용을 합니다. 예비타당성 조사기간 단축 등 신속 예비타당성 제도를 도입합니다. 수출은행 등에서 정부 현물출자를 합니다. 국고 채권 순발행을 축소하고, 1분기 발행은 2022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축소를 합니다.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배제를 연장을 합니다. 공급망 경영애로 특별지원 프로그램을 신설합니다. 경제분야 7대 테마별 핵심규제 혁신방안을 마련합니다. 면세점 경영애로 완화를 위해 특허수수료 경감조치를 연장합니다. 유턴기업이 기준 국내사업장 유휴공간 내 증설 시 세액을 감면합니다. 용역기부 세제지원 인정 범위를 확대하고, 고액기부 세제지원을 강화합니다. 15년 이상 장기 임대사업자 인센티브 요건을 완화합니다... 2022. 12. 27.
신용카드 소득공제 대상, 한도, 제외 및 계산 방법 소득공제 대상 및 한도 근로자가 사업자로부터 재화나 용역을 제공받고 신용카드, 체크카드, 선불카드, 현금영수증 사용액의 합계액 중 총급여액의 25%를 초과하는 금액의 15% ~ 40%를 소득공제합니다. 대상은 근로자 본인, 배우자, 직계존비속의 사용액입니다. 형제자매 및 장애인 직계비속의 장애인 배우자 사용액은 제외합니다. 공제한도는 총급여액의 20%로 연간 300만 원입니다. 총급여가 7천만 원 초과자는 250만 원이며, 1억 2천만 원 초과자는 200만 원입니다. 한도 초과금액이 있는 경우 한도초과금액과 전통시장, 대중교통, 도서공연비 등 사용액, 2021년 신용카드 등 소비증가분 중 적은 금액을 각각 100만 원 한도로 추가 공제가 됩니다. 소득공제 제외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사용금액 중.. 2022. 12. 24.
종합소득세 중간예납 신고대상, 납부기한 및 분납 중간예납 신고대상 기본적으로 종합소득이 있는 사업자가 소득세 중간예납의 납부 대상자입니다. 2022년도 귀속 종합소득세 신고대상자 중 손실보상대상자(방역조치 이행에 따른 영업손실 발생한 소규모사업자), 태풍 피해지역 거주자(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모든 납세자)는 종합소득세 중간예납 납부기한을 연장합니다. 중간예납 신고대상에서 예외 되는 사업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2022년 1월 1일 현재 사업자가 아닌 사람으로 2022년 중 신규로 사업을 개시한 사람입니다. 2022년 6월 30일 이전에 휴업이나 폐업을 한 사람입니다. 또한 2022년 6월 30일 이후 폐업자 중 수시자납 또는 수시부과한 사람입니다. 이자소득, 배당소득, 근로소득, 연금소득 또는 기타 소득이 있는 사람입니다. 사업소득 중 속기, 타자 등 .. 2022. 12. 23.
연말정산 세액 공제 항목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등 연말정산 세액공제 근로소득 세액공제 항목에서 총급여액이 3천3백만 원 이하는 74만 원 공제가 됩니다. 총급여액이 3천3백만 원 초과 7천만 원 이하인 경우 66만 원이 공제됩니다. 총급여액이 7천만 원 초과인 경우에는 50만 원이 공제가 됩니다. 자녀 세액공제 항목에서 7세 이상 1명인 경우 연 15만 원, 2명인 경우 30만 원이 공제가 됩니다. 자녀가 3명 이상인 경우 연 30만 원에 추가해서 2명 초과 1명당 30만 원이 공제됩니다. 그리고 출산이나 입양을 하는 경우 첫째 30만 원, 둘째 50만 원, 셋째 이상은 70만 원이 공제됩니다. 표준세액공제는 연 13만 원입니다. 공제요건은 근로자가 특별소득공제, 특별세액공제, 월세액 세액공제를 신청하지 아니한 경우에 적용이 됩니다. 납세조합 세액공제는.. 2022. 12. 22.